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다전공

다전공 선발기준

아래 기준을 충족하는 재학생(복학예정자 포함)을 대상으로 학과 교수회의에서 성적 및 과목 이수 내역 등을 고려하여 선발

  •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하고, 33학점 이상 취득
  • 복수전공, 부전공 : 평점평균 3.0이상
  • 교직연합전공: 평점평균 2.7이상
  • 복수전공

    • 총 이수 전공 학점: 52학점
    • 전공필수 과목 전체(23학번 이후 36학점) 및 사회과 논리 및 논술(2학점) 과목 필수 이수
    • 졸업학기에 졸업 논문 제출 외국어 진행 강좌 3학점을 사회교육과 전공으로 이수. (전공 필수인 정치와사회가 관습적으로 영어 과목으로 열림)
  • 부전공

    • 총 이수 전공 학점: 30학점
    • 전공 필수 과목 30학점 이상 이수 필요

학부 (통합사회)

사회교육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일반사회 정교사 2급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윤리교육과에서 설치한 통합사회영역을 50학점 이상 이수하였을 경우 통합사회 정교사 2급 자격증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일반사회는 고등학교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심화 과목을 가르칠 수 있는 자격증이며 통합사회는 통합사회과목을 가르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통합사회 교육과정은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 윤리교육과 네 학과에 걸쳐서 개설됩니다. 여기서 사회교육과에 개설된 통합사회 교육과정은 사회교육과의 일반사회 교육과정과 중복 인정됩니다. (15학점 이내)

따라서, 통합사회 영역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역사교육과, 지리교육과와 윤리교육과에서 개설한 통합사회 지정 과목을 추가로 이수하면 됩니다.

이들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은 ' 중등 정교사 2급 자격증 - 통합사회 ' 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 사회교육과
  • 역사교육과
  • 지리교육과
  • 윤리교육과
통합사회 교과목 편성표
1 영역은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며 3,4,5의 각 영역에서 2과목 이상씩, 전체 영역을 합쳐서 50학점 이상 이수가 필요합니다.(아래 기본이수과목은 사회교육과 이수 학생 기준)
구분
이수과목
1 영역(필수)
통합사회교과교육론, 통합사회교과 교재 및 연구법, 통합사회교과 논리 및 논술(2학점)
2 영역(사회교육과 개설과목)
법교육연습, 경제교육연습,시민교육과 헌법, 시민교육과 사회문제, 사회과학방법론
15학점 이내에서 주전공과 중복 인정
3 영역(역사교육과 개설과목)
역사연구의 새로운 동향, 동아시아근현대사, 20세기현대사, 한국사개론, 한국문화사
4 영역(지리교육과 개설과목)
자연지리학(환경과 지리), 인문지리학, 한국지리, 세계지리, 지리학
5 영역(윤리교육과 개설과목)
윤리학개론, 한국윤리사상, 동양윤리사상, 서양윤리사상, 응용윤리